맨위로가기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은 알제리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다. 1897년 프랑스령 알제리에서 축구가 시작된 이래 여러 변화를 거쳐 1964-65 시즌부터 전국 디비전 1으로 정착되었다. 현재 16개 팀이 참가하며, 각 팀은 두 번의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상위 팀들은 CAF 챔피언스 리그와 CAF 컨페더레이션컵에 진출한다. JS 카빌리가 최다 우승 기록(14회)을 보유하고 있으며, CR 벨루이즈다드, MC 알제, ES 세티프, USM 알제 등이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알제리 리그는 CAF 클럽 대항전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아프리카 내에서 경쟁력 있는 리그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제리의 축구 리그 - 리그 레지오날 I
    리그 레지오날 I은 알제리 축구 연맹의 통제 하에 알제리 여러 지역에서 운영되며 해당 지역 클럽들의 경쟁을 촉진하고 알제리 축구의 저변을 확대하는 축구 리그 시스템이다.
  • 알제리의 축구 리그 - 알제리 리그 2
    알제리 리그 2는 1962년 알제리 독립 후 창설된 알제리 축구 2부 리그로, 2010년 프로 리그로 전환되어 알제리 프로축구연맹의 주도하에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운영되며 상위 팀은 1부 리그로 승격하고 하위 팀은 하위 리그로 강등된다.
  • 196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CONCACAF 챔피언스컵
    CONCACAF 챔피언스컵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소속 클럽들이 참가하는 국제 클럽 축구 대회로, 1962년에 시작되어 2024년부터 다시 CONCACAF 챔피언스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멕시코 클럽이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2024년부터 27개 팀이 참가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 196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잠비아 프리미어리그
    잠비아 프리미어리그는 18개 팀이 참가하는 잠비아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CAF 챔피언스 리그 및 CAF 컨페더레이션컵 진출팀을 결정하며 MTN 그룹의 후원을 받고 은카나 FC, 무풀리라 원더러스, ZESCO 유나이티드 FC 등이 주요 우승 클럽이다.
  • 알제리 축구에 관한 - JS 카빌리
    JS 카빌리는 1946년 창단된 알제리의 축구 클럽으로, 알제리 리그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아프리카 챔피언스 리그 등 아프리카 클럽 대항전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현재 엘 하디 울드 알리가 회장을 맡고 50,766석 규모의 호신 아이트 아메드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알제리 축구에 관한 - MC 알제
    MC 알제는 1921년 창단된 알제리의 축구 클럽으로, 알제리 리그 1에서 8회 우승하고 알제리 클럽 최초로 CAF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한 역사적인 팀이다.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
기본 정보
이름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
아랍어 이름الرابطة الجزائرية المحترفة الأولى لكرة القدم (알라비타 알자자이리야 알무흐타리파 알울라 리쿠라티 알카담)
프랑스어 이름 (짧게)Championnat National de 1ère Division (샹피오나 나시오날 드 프르미에르 디비지옹)
창립일1962년 10월 21일
주관LFP (FAF)
대륙CAF (아프리카)
참가 팀 수16
강등리그 2
리그 단계1
국내 컵알제리 컵
알제리 슈퍼컵
리그 컵알제리 리그 컵
대륙 컵챔피언스리그
컨페더레이션컵
최근 우승팀MC 알제 (8회 우승)
시즌2023–24 시즌
최다 우승팀JS 카빌리 (14회 우승)
최다 출전 선수물루드 이부드 (424회)
최다 득점 선수아센 랄마 (131골)
텔레비전 방송EPTV
웹사이트lfp.dz
현재 시즌2024–25 리그 1
기타 정보
이전 이름알제리아・샹ピオナ・ナシオナル・ドゥ・プルミエール・ディヴィジオン
리그 스폰서 명칭리그 1 모빌리스

2. 역사

알제리 축구는 프랑스령 알제리 시절부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897년 오랑에 CDJ 오랑(Club des Joyeuseté)과 CAL 오랑(Club Athlétique Liberté Oranais)이 설립되면서 축구가 시작되었다. 이후 알제리 전역에서 축구가 발전하여 1962년 알제리가 독립할 때까지 프랑스 식민지 축구 리그가 운영되었다.

독립 후, 알제리 축구 연맹은 지역 토너먼트 형식으로 리그를 운영하다가 1964-1965 시즌부터 전국 선수권 대회를 창설했다. 이 대회는 알제리 3개 지역 리그(오랑, 알제, 콘스탄틴)의 상위 16개 팀이 참가하는 방식이었다.

지역 리그참가팀
오랑 (서부)ASM 오랑, MC 오랑, ES 모스타가넴, MC 사이다, JSM 티아레트
알제 (중앙)CR 벨루이즈다드, NA 후세인 데이, USM 블리다, MC 알제, USM 알제
콘스탄틴 (동부)USM 아나바(지난 시즌 챔피언), MSP 바트나, ES 겔마, ES 세티프, USM 세티프, MO 콘스탄틴



1960년대 CR 벨루이즈다드는 하센 랄마스 등 뛰어난 선수들을 바탕으로 1964-65 시즌부터 1970-71 시즌 사이에 4번의 리그 우승과 마그레브 챔피언스 컵 3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알제리 축구를 이끌었다.[1] ES 세티프(1967-68 시즌)와 MC 오란(1970-71 시즌)도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CR 벨루이즈다드의 강력한 라이벌로 등장했다.[1]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의 역대 우승팀은 다음과 같다.

시즌우승팀시즌우승팀시즌우승팀
1962-63USM 알제1982-83JS 카빌리2002-03USM 알제
1963-64함라 안나바1983-84GC 마스카라2003-04JS 카빌리
1964-65CR 벨루이즈다드1984-85JS 카빌리2004-05USM 알제
1965-66CR 벨루이즈다드1985-86JS 카빌리2005-06JS 카빌리
1966-67NA 후세인 데이1986-87ES 세티프2006-07ES 세티프
1967-68ES 세티프1987-88MC 오란2007-08JS 카빌리
1968-69CR 벨루이즈다드1988-89JS 카빌리2008-09ES 세티프
1969-70CR 벨루이즈다드1989-90JS 카빌리2009-10MC 알제
1970-71MC 오란1990-91MO 콘스탄틴2010-11ASO 슐레프
1971-72MC 알제1991-92MC 오란2011-12ES 세티프
1972-73JS 카빌리1992-93MC 오란2012-13ES 세티프
1973-74JS 카빌리1993-94US 샤위아2013-14USM 알제
1974-75MC 알제1994-95JS 카빌리2014-15ES 세티프
1975-76MC 알제1995-96USM 알제2015-16USM 알제
1976-77JS 카빌리1996-97CS 콘스탄틴2016-17ES 세티프
1977-78MC 알제1997-98USM 엘 아라크2017-18CS 콘스탄틴
1978-79MC 알제1998-99MC 알제2018-19USM 알제
1979-80JS 카빌리1999-00CR 벨루이즈다드2019-20CR 벨루이즈다드
1980-81RC 쿠바2000-01CR 벨루이즈다드2020-21CR 벨루이즈다드
1981-82JS 카빌리2001-02USM 알제2021-22CR 벨루이즈다드
2022-23CR 벨루이즈다드


2. 1. 알제리 축구의 기원 (1897-1962)

1894년 4월 14일 프랑스령 알제리 오랑에 CDJ 오랑(Club des Joyeuseté)이 설립되었고, 1897년 7월 10일에 축구 부서를 창설했다. 1897년 9월 28일에는 Club Athlétique Oranais라는 이름으로 CAL 오랑(Club Athlétique Liberté Oranais)이 축구 부서를 설립했다.

이후 프랑스령 알제리에서 반 세기 이상 동안 축구가 점차 발전하여 수많은 클럽들이 창설되었고, 축구 경기를 주관하는 부서별 및 지역 간 대회가 조직되었다. 1962년 알제리가 북아프리카에서 프랑스 통치를 포기한 마지막 영토가 되면서 식민지 프랑스 축구는 종말을 맞이했다.

2. 2. 명예 디비전 (1963-1964)

알제리 축구 연맹은 지역 토너먼트 형식으로 두 시즌 동안 대회를 치른 후, 전국 선수권 대회를 재편성했다. 1964-1965 시즌에는 알제리 축구의 세 지역 리그(오랑, 알제, 콘스탄틴)에서 최고의 16개 팀이 직접 대결하는 전국 선수권 대회를 창설했다. 각 지역 리그의 상위 5개 팀과 지난 시즌 지역 챔피언이 전국 대회에 참가했다.

각 지역별 참가팀은 다음과 같다.

지역 리그참가팀
오랑 (서부)ASM 오랑, MC 오랑, ES 모스타가넴, MC 사이다, JSM 티아레트
알제 (중앙)CR 벨루이즈다드, NA 후세인 데이, USM 블리다, MC 알제, USM 알제
콘스탄틴 (동부)USM 아나바(지난 시즌 챔피언), MSP 바트나, ES 겔마, ES 세티프, USM 세티프, MO 콘스탄틴


2. 3. 전국 디비전 1 (1964-현재)

1962-63 시즌과 1972-73 시즌 사이에 CR 벨루이즈다드의 전성기를 이끈 축구 선수 하센 랄마스


CR 벨코트(이후 CR 벨루이즈다드로 개명)는 알제의 벨코트 구역(현재의 벨루이즈다드)에 위치한 새로운 클럽이었다. 이 클럽은 같은 구역의 두 클럽인 WRB(Widad Riadhi Belcourt)와 CAB(Club Athéltique Belcourt)의 합병으로 탄생했다. 이 두 클럽은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축구 경기를 치렀으며, FFFA(프랑스 축구 연맹)와 LAFA(알제 축구 리그 연맹)에 가입했다.

1960년대에 CR 벨루이즈다드는 1964-65 시즌부터 1970-71 시즌 사이에 4개의 타이틀을 획득하며 알제리 축구를 지배했다. 특히 1964-65 ~ 1965-66 시즌과 1968-69 ~ 1969-70 시즌에는 두 번의 더블 챔피언십을 달성했다.

야히아 아흐메드 사아디와 아랍 지툰이 이끈 CR 벨루이즈다드는 라싱 유니베르시테르 다르제의 하미티나 갈리아 스포츠 알제의 제마와 같은 프랑스 식민지 클럽 출신을 제외하고는 알제리 대표팀의 주축을 이루는 최고의 선수들로 구성되었다. 이 팀은 알제리마그레브의 모든 대회(3번의 마그레브 챔피언스 컵 연속 우승)에서 두각을 나타냈다.[1]

CR 벨루이즈다드의 주요 라이벌은 1967-68 시즌 타이틀을 획득한 ES 세티프와 1970-71 시즌에 첫 트로피를 획득한 MC 오란이었다. MC 오란은 1968-69 시즌을 아깝게 놓쳤고, 1967-68 시즌에는 ES 세티프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지만, CR 벨루이즈다드는 3위를 기록했다.[1]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의 역대 우승팀은 다음과 같다.

시즌우승팀시즌우승팀시즌우승팀
1962-63USM 알제1982-83JS 카빌리2002-03USM 알제
1963-64함라 안나바1983-84GC 마스카라2003-04JS 카빌리
1964-65CR 벨루이즈다드1984-85JS 카빌리2004-05USM 알제
1965-66CR 벨루이즈다드1985-86JS 카빌리2005-06JS 카빌리
1966-67NA 후세인 데이1986-87ES 세티프2006-07ES 세티프
1967-68ES 세티프1987-88MC 오란2007-08JS 카빌리
1968-69CR 벨루이즈다드1988-89JS 카빌리2008-09ES 세티프
1969-70CR 벨루이즈다드1989-90JS 카빌리2009-10MC 알제
1970-71MC 오란1990-91MO 콘스탄틴2010-11ASO 슐레프
1971-72MC 알제1991-92MC 오란2011-12ES 세티프
1972-73JS 카빌리1992-93MC 오란2012-13ES 세티프
1973-74JS 카빌리1993-94US 샤위아2013-14USM 알제
1974-75MC 알제1994-95JS 카빌리2014-15ES 세티프
1975-76MC 알제1995-96USM 알제2015-16USM 알제
1976-77JS 카빌리1996-97CS 콘스탄틴2016-17ES 세티프
1977-78MC 알제1997-98USM 엘 아라크2017-18CS 콘스탄틴
1978-79MC 알제1998-99MC 알제2018-19USM 알제
1979-80JS 카빌리1999-00CR 벨루이즈다드2019-20CR 벨루이즈다드
1980-81RC 쿠바2000-01CR 벨루이즈다드2020-21CR 벨루이즈다드
1981-82JS 카빌리2001-02USM 알제2021-22CR 벨루이즈다드
2022-23CR 벨루이즈다드


3. 리그 구성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은 16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총 30경기를 진행한다. 리그는 하위 리그와의 승강제를 통해 운영된다.

3. 1. 2024-25 시즌 참가 클럽

클럽명홈 경기장수용 인원
CR 벨루이즈다드스타드 20 아우 195510,000
CS 콘스탄틴스타드 모하메드 함라우이40,000
DRB 타주난트라프아 스마일 스타디움9,000
ES 세티프스타드 8 메이 194515,000
JS 카빌리스타드 1er 노뱀브르 195415,000
JS 사우라스타드 20 아우 195520,000
MC 알제스타드 오마르 하마디10,000
MC 오란스타드 아흐메드 자바나40,000
NA 후세인 데이스타드 20 아우 195510,000
올랭피크 드 메데아스타드 이맘 리예 드 메데아12,000
파라두 AC스타드 오마르 하마디10,000
USM 알제스타드 오마르 하마디10,000
USM 벨-아베스스타드 24 페브리에 195645,000
USM 엘-하라쉬스타드 1er 노뱀브르 19545,000
USM 블리다무스타파 차케르 스타디움40,000
US 비스크라엘 알리아 스포츠 콤플렉스25,000


3. 2. 경기장

}

|-

| CS 콘스탄틴

| 스타드 모하메드 함라우이

| style="text-align:center" |

|-

| DRB 타주난트

| 라프아 스마일 스타디움

| style="text-align:center" |

|-

| ES 세티프

| 스타드 8 메이 1945

| style="text-align:center" |

|-

| JS 카빌리

| 스타드 1er 노뱀브르 1954

| style="text-align:center" |

|-

| JS 사우라

| 스타드 20 아우 1955

| style="text-align:center" |

|-

| MC 알제

| 스타드 오마르 하마디

| style="text-align:center" |

|-

| MC 오란

| 스타드 아흐메드 자바나

| style="text-align:center" |

|-

| NA 후세인 데이

| 스타드 20 아우 1955

| style="text-align:center" |

|-

| 올랭피크 드 메데아

| 스타드 이맘 리예 드 메데아

| style="text-align:center" |

|-

| 파라두 AC

| 스타드 오마르 하마디

| style="text-align:center" |

|-

| USM 알제

| 스타드 오마르 하마디

| style="text-align:center" |

|-

| USM 벨-아베스

| 스타드 24 페브리에 1956

| style="text-align:center" |

|-

| USM 엘-하라쉬

| 스타드 1er 노뱀브르 1954

| style="text-align:center" |

|-

| USM 블리다

| 무스타파 차케르 스타디움

| style="text-align:center" |

|-

| US 비스크라

| 엘 알리아 스포츠 콤플렉스

| style="text-align:center" |

|}

4. 리그 운영 및 재정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은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며, 리그 재정은 스폰서십, 중계권, 클럽 소유 구조 등에 영향을 받는다.

2000년대 초반에는 CR 벨루이즈다드가 1999-2000 시즌과 2000-2001 시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2000년대 중반에는 USM 알제와 JS 카빌리에가 각각 3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 USM 알제는 빌렐 지리 선수를 중심으로 황금기를 누렸으며, JS 카빌리에는 CAF 컵에서 3회 연속 우승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0년대 후반에는 ES 세티프가 2006-2007 시즌과 2008-2009 시즌에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고, 아랍 챔피언스 리그에서도 2회 연속 우승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2010년대에 들어서는 ES 세티프가 9시즌 동안 5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4년 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과 2014년 FIFA 클럽 월드컵 진출이라는 쾌거를 이루며 알제리 축구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2020년대, CR 벨루이즈다드는 2019-2020 시즌부터 2022-2023 시즌까지 4시즌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하며 압도적인 지배력을 과시하고 있다.

알제리 챔피언과 준우승 팀은 다음 시즌 아프리카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하는데, 이는 에너지, 시간, 비용 소모를 야기한다. ES 세티프는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꾸준한 성적을 유지한 유일한 팀으로 평가받는다.

2022-23년 CAF 챔피언스 리그 및 2022-23년 CAF 컨페더레이션컵 협회 순위는 2018-19 시즌부터 2022-23 시즌까지 각 CAF 클럽 대회 결과를 기준으로 하며, 알제리는 2023년 6월 13일 기준 총점 135점으로 3위를 기록하고 있다.

클럽명홈 경기장수용 인원
CR 벨루이즈다드스타드 20 아우 1955{{cvt|}
순위협회2018-192019-202020-212021-222022-23총점
20232022변동CLCCCLCCCLCCCLCCCLCC
335131657165135


4. 1. 소유 구조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의 클럽 소유 구조는 다양하며, 특히 2000년대 이후 공기업 및 대기업의 참여가 두드러진다. 2000년대 알제리 리그는 특정 팀의 독주보다는 여러 팀들이 번갈아 가며 강세를 보였다. CR 벨루이즈다드는 1999-2000 시즌과 2000-2001 시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10년간의 시작을 알렸다. 이후 ES 세티프가 2006-2007 시즌과 2008-2009 시즌에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아랍 챔피언스 리그에서도 연속 우승하며 국제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이 두 팀 사이에서 USM 알제와 JS 카빌리에 역시 주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었다. USM 알제는 2001-2002, 2002-2003, 2004-2005 시즌에 우승하며 2000년대 초반 리그를 지배했다. JS 카빌리에는 2003-2004, 2005-2006, 2007-2008 시즌 우승과 더불어 3번의 CAF 컵 연속 우승을 통해 국제 무대에서도 강한 면모를 보였다.

2010년대에 들어서는 ES 세티프의 독주가 이어졌다. ES 세티프는 9시즌 동안 5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4년 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과 2014년 FIFA 클럽 월드컵 진출이라는 쾌거를 이루며 알제리 축구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ES 세티프 외에도 MC 알제, USM 알제, ASO 슐레프, JSM 베자이아 등이 리그 우승을 차지했지만, ES 세티프만큼 꾸준한 성적을 유지하지는 못했다.

이는 알제리 챔피언과 준우승 팀이 다음 시즌 아프리카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 시간, 비용 소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ES 세티프는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꾸준한 성적을 유지한 유일한 팀으로 평가받는다.

4. 2. 스폰서십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은 여러 스폰서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리그 재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리그의 스폰서십 변천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2000년대 초반, CR 벨루이즈다드는 1999-2000 시즌과 2000-2001 시즌 연속으로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리그를 지배했다.
  • 2000년대 중반, USM 알제와 JS 카빌리에는 각각 3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 USM 알제는 빌렐 지리 선수를 중심으로 황금기를 누렸으며, JS 카빌리에는 CAF 컵에서 3회 연속 우승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2000년대 후반, ES 세티프는 2006-2007 시즌과 2008-2009 시즌에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ES 세티프는 아랍 챔피언스 리그에서도 2회 연속 우승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2020년대, CR 벨루이즈다드는 2019-2020 시즌부터 2022-2023 시즌까지 4시즌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하며 압도적인 지배력을 과시하고 있다. 이는 알제리 축구 역사상 전례 없는 기록이다.


이처럼 각 시대를 풍미했던 팀들은 스폰서십을 통해 안정적인 재정 지원을 받았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주어진 자료에서는 구체적인 스폰서 정보가 언급되지 않아 정확한 분석은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의 스폰서십은 리그의 재정 안정과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음을 알 수 있다. 각 팀은 스폰서십을 통해 선수 영입, 시설 개선, 유소년 육성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할 수 있었으며, 이는 리그의 전반적인 발전으로 이어졌다.

4. 3. 미디어 중계

진입91064



CR 벨루이즈다드는 1999-2000 시즌과 2000-2001 시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2000년대 초반 리그를 지배했다. ES 세티프는 2006-2007 시즌과 2008-2009 시즌 우승을 차지하며 2000년대 후반 강팀으로 떠올랐다. USM 알제는 2001-2002, 2002-2003, 2004-2005 시즌 우승을 차지하며 꾸준한 성적을 거두었고, JS 카빌리에는 2003-2004, 2005-2006, 2007-2008 시즌 우승을 차지하며 USM 알제와 함께 리그를 양분했다.

MC 알제는 2009-2010 시즌에 11년 만에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부활을 알렸다.

2022-23년 CAF 챔피언스 리그 및 2022-23년 CAF 컨페더레이션컵의 협회 순위는 2018-19 시즌부터 2022-23 시즌까지 각 CAF 클럽 대회의 결과를 기준으로 한다. 알제리는 2023년 6월 13일 기준, 총점 135점으로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순위협회2018-192019-202020-212021-222022-23총점
20232022변동CLCCCLCCCLCCCLCCCLCC
335131657165135


5. 한국과의 관계

현재까지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과 대한민국 사이에 특별한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5. 1. 선수 교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과 한국 축구 간의 선수 교류에 대한 내용이 없다. 따라서 '선수 교류' 섹션에는 다음 내용을 작성한다.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과 한국 축구 간의 선수 교류는 현재까지 기록된 바가 없다. 따라서 선수 교류 사례나 양국 축구 발전에 미친 영향에 대한 정보는 제공할 수 없다.

5. 2. 감독 교류

5. 3. 기타 교류

주어진 원본 소스는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의 클럽, 구단주, 날짜, 참고 자료를 나타내는 표이며, '기타 교류' 섹션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따라서 주어진 소스만으로는 '기타 교류'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으므로, 이전 결과물을 변경하지 않는다.

6. 기록

첫 시즌최상위 디비전
시즌 수최상위 디비전
타이틀마지막 최상위 디비전 타이틀ASO 셸레프셸레프8위1976-773012010/11CR 벨루이즈다드알제2위1964-6559102022/23CS 콘스탄틴콘스탄틴3위1970-712822017/18ES 모스타가넴모스타가넴리그 2 CW 1위1964-6540해당 없음ES 세티프세티프5위1964-655682016/17JS 카빌리티지 우주7위1968-6955142007/08JS 사우라베샤르9위2013-14120해당 없음MC 알제알제1위1964-655582009/10MC 엘 바야드엘 바야드11위2022-2320해당 없음MC 오란오란13위1964-655941992/93NC 마그라마그라12위2019-2050해당 없음올랭피크 아크부아크부리그 2 CE 1위2024-2500해당 없음파라두 AC알제6위2005/0690해당 없음US 비스크라비스크라14위2005-0670해당 없음USM 알제알제4위1964-654482018/19USM 켄셸라켄셸라10위1974-7530해당 없음



===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 역대 순위표 ===

2022-23 시즌 종료 시점 기준.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

!width=35|순위

!width=160|클럽

!width=40|시즌

!width=40|우승

!width=40|경기

!width=40|승

!width=40|무

!width=40|패

!width=40|득점

!width=40|실점

!width=40|골득실

!width=40|승점

!width=40|경기당 승점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ce1af;"

|'''1'''||align=left|'''CR 벨루이즈다드'''||'''58'''||10||'''1674'''||675||495||504||2071||1632||439||'''2799'''[23]||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ce1af;"

| '''2''' ||align=left|'''MC 오랑'''||'''58''' ||4||1672||651||496||'''525''' ||'''2087''' ||1796||291||2703[24]||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ce1af;"

| '''3''' ||align=left|'''ES 세티프'''||55||8||1584||663||457||464||2014||1611||403||2744[24]||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ce1af;"

| '''4''' ||align=left|'''JS 카빌리'''||54||'''14''' ||1579||'''719''' ||452||408||2071||1316||'''755''' ||2719||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ce1af;"

| '''5''' ||align=left|'''MC 알제'''||54||7||1563||618||'''502''' ||443||1924||1579||345||2492[25]||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6''' ||align=left|NA 후세인 데이||45||1||1296||467||393||436||1476||1344||132||1518||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ce1af;"

| '''7''' ||align=left|'''USM 알제'''||43||8||1227||510||333||384||1600||1209||391||2139[26]||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8''' ||align=left|USM 엘 하라치||35||1||1050||370||233||347||1034||989||46||1566||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9''' ||align=left|ASM 오랑||32||0||954||299||278||378||967||1129||-162||1454||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10''' ||align=left|WA 렘센||30||0||916||312||237||367||960||1039||-79||1184||

|- style="width:10px; background:#ace1af;"

| '''11''' ||align=left|'''ASO 셸레프'''||28||1||874||309||269||296||916||875||38||1292||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12''' ||align=left|RC 쿠바||28||1||792||263||230||299||950||945||5||1341||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ce1af;"

| '''13''' ||align=left|'''CS 콘스탄틴'''||28||2||811||289||247||275||858||841||17||1184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14''' ||align=left|USM 벨 아베스||27||0||770||232||225||313||725||934||-209||1134[27]||

|- style="width:10px; background:#c1ddfd;"

| '''15''' ||align=left|USM 블리다||26||0||750||229||236||285||769||852||-83||1014[28]||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16''' ||align=left|CA 바트나||23||0||652||206||159||287||610||814||-204||877||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17''' ||align=left|MO 콘스탄틴||22||1||614||226||146||242||705||746||-41||944||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18''' ||align=left|USM 아나바||21||0||652||224||186||242||694||643||51||833||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19''' ||align=left|AS 아인 믈릴라||20||0||586||198||169||219||469||601||-132||704||

|- style="width:10px; background:#c1ddfd;"

| '''20''' ||align=left|ES 겔마||17||0||488||153||124||211||522||692||-170||853||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21''' ||align=left|CA 보르 부 아레리드||16||0||426||138||121||201||395||552||-157||429[25]||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22''' ||align=left|JSM 베자이아||14||0||414||144||126||144||427||444||-17||567||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23''' ||align=left|WA 부파리크||14||0||424||118||113||163||404||518||-114||626||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24''' ||align=left|JS 보르 므네이에르||13||0||418||135||135||148||417||453||-36||520||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25''' ||align=left|GC 마스카라||12||1||378||124||94||160||429||523||-94||612||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ce1af;"

| '''26''' ||align=left|'''JS 사우라'''||11||0||334||144||90||99||406||291||115||518||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27''' ||align=left|HAMRA 아나바||11||1||297||102||79||116||338||342||-4||583||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28''' ||align=left|JSM 티아레트||11||0||334||99||95||140||314||414||-100||502||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29''' ||align=left|MC 사이다||11||0||327||87||93||133||330||431||-101||459||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30''' ||align=left|RC 렐리잔||9||0||302||92||97||113||307||395||-88||349[27]||

|- style="width:10px; background:#fffddf;"

| '''31''' ||align=left|ES 콜로||9||0||296||103||88||105||269||287||-18||486||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32''' ||align=left|US 샤우이아||9||1||250||87||64||99||229||282||-53||282||

|- style="width:10px; background:#c1ddfd;"

| '''33''' ||align=left|USM 아인 베이다||8||0||260||99||59||102||261||282||-21||378||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ce1af;"

| '''34''' ||align=left|'''파라두 AC'''||8||0||222||85||54||83||271||246||25||309||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35''' ||align=left|MC 엘 율마||7||0||216||76||61||79||247||241||6|| 289||

|- style="width:10px; background:#bbb;"

| '''36''' ||align=left|DNC 알제||6||0||178||44||63||71||185||215||-30||329||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ce1af;"

| '''37''' ||align=left|'''US 비스크라'''||6||0||162||46||52||64||134||176||-42||190||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7d;"

| '''38''' ||align=left|올랭피크 드 메데아||5||0||162||48||48||66||148||199||-51||192||

|- style="width:10px; background:#c1ddfd;"

| '''39''' ||align=left|AS 크루브||5||0||156||48||49||59||147||188||-39||193||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ce1af;"

| '''40''' ||align=left|'''RC 아르바'''||5||0||154||48||36||68||171||210||-39||182||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41''' ||align=left|MO 베자이아||5||0||150||43||50||57||144||166||-22||181||

|- style="width:10px; background:#c1ddfd;"

| '''42''' ||align=left|MSP 바트나||4||0||126||40||33||53||126||150||-24||188||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ce1af;"

| '''43''' ||align=left|'''NC 마그라'''||4||0||124||42||30||52||120||146||-26||156||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be08d;"

| '''44''' ||align=left|JSM 스키크다||4||0||124|| 29||28||67||91||181||-90||143||

|- style="width:10px; background:#c1ddfd;"

| '''45''' ||align=left|USM 세티프||4||0||120||34||25||60||130||203||-73||213||

|- style="width:10px; background:#c1ddfd;"

| '''46''' ||align=left|DRB 타제나네트||4||0||120||38||36||46||124||141||-17||150||

|- style="width:10px; background:#c1ddfd;"

| '''47''' ||align=left|ES 모스타가넴||4||0||100||32||25||43||116||148||-32||164||

|- style="width:10px; background:#c1ddfd;"

| '''48''' ||align=left|WA 모스타가넴||3||0||90||29||25||36||104||121||-17||91||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ce1af;"

| '''49''' ||align=left|'''USM 켄셸라'''||3||0||90||27||20||43||81||122||-41||146||

|- style="width:10px; background:#fffddf;"

| '''50''' ||align=left|OMR 엘 아나세르||3||0||90||26||29||35||89||99||-10||107||

|- style="width:10px; background:#c1ddfd;"

| '''

6. 1. 역대 우승 클럽

클럽우승 횟수우승 연도
JS 카빌리141972–73, 1973–74, 1976–77, 1979–80, 1981–82, 1982–83, 1984–85, 1985–86, 1988–89, 1989–90, 1994–95, 2003–04, 2005–06, 2007–08
CR 벨루이즈다드101964–65, 1965–66, 1968–69, 1969–70, 1999–00, 2000–01, 2019–20, 2020–21, 2021–22, 2022–23
USM 알제81962–63, 1995–96, 2001–02, 2002–03, 2004–05, 2013–14, 2015–16, 2018–19
ES 세티프81967–68, 1986–87, 2006–07, 2008–09, 2011–12, 2012–13, 2014–15, 2016–17
MC 알제71971–72, 1974–75, 1975–76, 1977–78, 1978–79, 1998–99, 2009–10
MC 오란41970–71, 1987–88, 1991–92, 1992–93
CS 콘스탄틴21996–97, 2017–18
NA 후세인 데이11966–67
USM 엘 아라크11997–98
RC 쿠바11980–81
MO 콘스탄틴11990–91
ASO 슐레프12011–12
함라 안나바11963–64
GC 마스카라11983–84
US 샤위아11994–95


6. 2. 역대 최다 득점 선수

다음은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의 역대 최다 득점 선수 명단이다.

시즌선수소속득점
1964-65 호신 사디NA 후세인 데이21
1965-66 압델카데르 레귀이그ASM 오랑20
1966-67 누레딘 하추프ES 겝마18
1967-68 압델카데르 페르하MC 오랑15
1968-69 압델카데르 페르하MC 오랑15
1969-70 하센 라말라스CR 벨루이즈다드18
1970-71 압델카데르 페르하, 메디 하르멜MC 오랑15
1971-72 라바 가무, 하산 타히르MO 콘스탄틴, MC 알제20
1972-73 압데슬람 부스리MC 알제12
1973-74 오마르 베트루니MC 알제17
1974-75 부알렘 아미루체, 시드 아메드 벨케드루시RC 쿠바, MC 오랑18
1975-76 모하메드 그리체ES 세티프21
1976-77 모크라네 바일레슈JS 카빌리20
1977-78 압데슬람 부스리MC 알제14
1978-79 라흐다르 벨루미, 레두안 겜리, 압데슬람 부스리MC 오랑, ASM 오랑, MC 알제11
1979-80 나세르 부이체MC 알제19
1980-81 누레딘 메기치RC 쿠바16
1981-82 압데슬람 부스리MC 알제16
1982-83 압데슬람 부스리MC 알제17
1983-84 나세르 부이체JS 카빌리17
1984-85 모하메드 알루이AS 앙 밀라17
1985-86 나세르 부이체JS 카빌리36
1986-87 엘-하디 켈릴리RC 렐리잔17
1987-88 샤우키 벤타예브USM 앙 베이다19
1988-89 나세르 부이체JS 카빌리18
1989-90 타리크 하지 아드라네JS 카빌리24
1990-91 드리드 콜리MO 콘스탄틴19
1991-92 압델하피드 타스파우트MC 오랑17
1992-93 압델하피드 타스파우트MC 오랑15
1993-94 타리크 하지 아드난JS 카빌리18
1994-95 타리크 하지 아드라네JS 카빌리23
1995-96 모하메드 브라히미WA 텔렘센14
1996-97 모하메드 잘티WA 텔렘센15
1997-98 하미드 메락치ES 모스타가넴7
1998-99 파리드 가지JS 카빌리19
1999-00 로트피 사흐라위MO 콘스탄틴11
2000-01 이사드 부라일리ES 세티프16
2001-02 누레딘 데함, 카멜 케르카체ASM 오랑, USM 블리다13
2002-03 몬세프 우이차위USM 알제18
2003-04 아델 엘 하디USM 안나바17
2004-05 하미드 베르구이가JS 카빌리18
2005-06 하미드 베르구이가JS 카빌리18
2006-07 셰이크 우마르 다보JS 카빌리17
2007-08 나빌 헤마니JS 카빌리17
2008-09 모하메드 메사우드ASO 슐레프19
2009-10 하지 부게슈MC 알제17
2010-11 힐렐 수다니ASO 슐레프18
2011-12 모하메드 메사우드ASO 슐레프15
2012-13 무스타파 자리트MC 알제14
2013-14 알베르 에보세 보존고JS 카빌리17
2014-15 왈리드 데라르다MC 엘 엘마16
2015-16 모하메드 주비아, 모하메드 티아이바MC 오랑, RC 렐리잔13
2016-17 아흐메드 가스미NA 후세인 데이14
2017-18 우사마 달파르USM 알제18
2018-19 자카리아 나이지파라두 AC20
2019-20 압데누르 벨호치니, 라민 아비드, 모하메드 티아이바USM 벨 아베스, CS 콘스탄틴, AS 아인 믈릴라10
2020-21 아미르 사유드CR 벨루이즈다드20
2021-22 사미 프리우이MC 알제17


6. 3. 역대 리그 참가 클럽

첫 시즌최상위 디비전
시즌 수최상위 디비전
타이틀마지막 최상위 디비전 타이틀ASO 셸레프셸레프8위1976-773012010/11CR 벨루이즈다드알제2위1964-6559102022/23CS 콘스탄틴콘스탄틴3위1970-712822017/18ES 모스타가넴모스타가넴리그 2 CW 1위1964-6540해당 없음ES 세티프세티프5위1964-655682016/17JS 카빌리티지 우주7위1968-6955142007/08JS 사우라베샤르9위2013-14120해당 없음MC 알제알제1위1964-655582009/10MC 엘 바야드엘 바야드11위2022-2320해당 없음MC 오란오란13위1964-655941992/93NC 마그라마그라12위2019-2050해당 없음올랭피크 아크부아크부리그 2 CE 1위2024-2500해당 없음파라두 AC알제6위2005/0690해당 없음US 비스크라비스크라14위2005-0670해당 없음USM 알제알제4위1964-654482018/19USM 켄셸라켄셸라10위1974-7530해당 없음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 역대 순위표는 1964년 리그 출범 이후 알제리 리그 프로페시오넬 1에서 경기를 치른 모든 팀의 경기 결과, 승점 및 골을 누적 기록한 것이다. 다음 표는 2022–23 시즌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순위클럽시즌우승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경기당 승점
1CR 벨루이즈다드58101674675495504207116324392799[23]
2MC 오랑5841672651496525208717962912703[24]
3ES 세티프5581584663457464201416114032744[24]
4JS 카빌리54141579719452408207113167552719
5MC 알제5471563618502443192415793452492[25]
6NA 후세인 데이4511296467393436147613441321518
7USM 알제4381227510333384160012093912139[26]
8USM 엘 하라치35110503702333471034989461566
9ASM 오랑3209542992783789671129-1621454
10WA 렘센3009163122373679601039-791184
11ASO 셸레프281874309269296916875381292
12RC 쿠바28179226323029995094551341
13CS 콘스탄틴282811289247275858841171184|
14USM 벨 아베스270770232225313725934-2091134[27]
15USM 블리다260750229236285769852-831014[28]
16CA 바트나230652206159287610814-204877
17MO 콘스탄틴221614226146242705746-41944
18USM 아나바21065222418624269464351833
19AS 아인 믈릴라200586198169219469601-132704
20ES 겔마170488153124211522692-170853
21CA 보르 부 아레리드160426138121201395552-157429[25]
22JSM 베자이아140414144126144427444-17567
23WA 부파리크140424118113163404518-114626
24JS 보르 므네이에르130418135135148417453-36520
25GC 마스카라12137812494160429523-94612
26JS 사우라1103341449099406291115518
27HAMRA 아나바11129710279116338342-4583
28JSM 티아레트1103349995140314414-100502
29MC 사이다1103278793133330431-101459
30RC 렐리잔903029297113307395-88349[27]
31ES 콜로9029610388105269287-18486
32US 샤우이아91250876499229282-53282
33USM 아인 베이다802609959102261282-21378
34파라두 AC8022285548327124625309
35MC 엘 율마702167661792472416289
36DNC 알제60178446371185215-30329
37US 비스크라60162465264134176-42190
38올랭피크 드 메데아50162484866148199-51192
39AS 크루브50156484959147188-39193
40RC 아르바50154483668171210-39182
41MO 베자이아50150435057144166-22181
42MSP 바트나40126403353126150-24188
43NC 마그라40124423052120146-26156
44JSM 스키크다4012429286791181-90143
45USM 세티프40120342560130203-73213
46DRB 타제나네트40120383646124141-17150
47ES 모스타가넴40100322543116148-32164
48WA 모스타가넴3090292536104121-1791
49USM 켄첼라309027204381122-41146
50OMR 엘 아나세르30902629358999-10107
51JS 지젤307421153870111-41131
52SCM 오란20521517206187-2699
53HB 셸구움 라이드206411163751117-6649
54MC 엘 바야드10301307103425+946
55US 산테103056191850-3246
56US 테베사10268992535-1033
57SA 모하마디아102669112233-1127
58RCG 오란102646162242-2039
59CRB 아인 파크룬103055201639-2320
60E 수르 엘 고즈란102633201345-3212
61USMM 하지우트102619161444-3012


7. 국제 대회 성적

1981, 1990준우승
2021우승
1995우승 (3회)
2000, 2001, 2002준우승
1996––ES 세티프우승 (2회)
1988, 2014준우승
2009준결승
1991–우승
2015우승
19895위
2014USM 알제준우승
2015우승
2023준결승
20028강
1999우승
2023––MC 알제우승
19768강
20172라운드
1984––––MC 오란준우승
19892라운드 (2회)
2005, 20168강
19978강
1996–––MO 베자이아2라운드
2016준우승
2016–––––NA 후세인 데이–플레이오프 라운드
2006준우승
1978––––CR 벨루이즈다드8강 (3회)
2020–21, 2021–22, 2022–23플레이오프 라운드
2010준결승
1996––––CS 콘스탄틴8강
2018–192라운드 (2회)
2014, 2016–––––GC 마스카라8강
1985––––––RC 쿠바8강
1982––––––ASO 슐레프조별리그
20122라운드 (2회)
2007, 2015–––––MC 엘 율마조별리그
2015––––––USM 엘 하라슈2라운드
1999–1라운드
19888강
1993–––MO 콘스탄틴2라운드
1992–2라운드
19772라운드
2001–––US 샤우이아2라운드
1995––8강
1994–––JSM 베자이아2라운드
20132라운드
2009–––––DNC 알제––8강
1983––––ASM 오란–––8강
1992–––USM 아인 베이다–––8강
1997–––JS 보르지 메나이에–––2라운드
1995–––USM 벨 아베스––2라운드
1992––––ES 콜로––2라운드
1987––––CR 베니 투르––2라운드
2001––––WA 렘센––1라운드 (2회)
1999, 2003––––RC 렐리잔––1라운드
1990––––



ES 세티프CAF 챔피언스리그에서 두 차례 우승(1988, 2014)하고, FIFA 클럽 월드컵에 참가(2014)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JS 카빌리에는 CAF 챔피언스리그 2회 우승(1981, 1990), CAF 컵 3회 우승(2000, 2001, 2002)으로 알제리 대표 클럽으로 인정받고 있다. USM 알제는 2023년 CAF 컨페더레이션컵CAF 슈퍼컵에서 우승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이러한 성과는 알제리 리그의 경쟁력을 입증하고, 리그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7. 1. 아프리카 챔피언스리그 및 기타 국제 대회

1981, 1990준우승
2021우승
1995우승 (3회)
2000, 2001, 2002준우승
1996––ES 세티프우승 (2회)
1988, 2014준우승
2009준결승
1991–우승
2015우승
19895위
2014USM 알제준우승
2015우승
2023준결승
20028강
1999우승
2023––MC 알제우승
19768강
20172라운드
1984––––MC 오란준우승
19892라운드 (2회)
2005, 20168강
19978강
1996–––MO 베자이아2라운드
2016준우승
2016–––––NA 후세인 데이–플레이오프 라운드
2006준우승
1978––––CR 벨루이즈다드8강 (3회)
2020–21, 2021–22, 2022–23플레이오프 라운드
2010준결승
1996––––CS 콘스탄틴8강
2018–192라운드 (2회)
2014, 2016–––––GC 마스카라8강
1985––––––RC 쿠바8강
1982––––––ASO 슐레프조별리그
20122라운드 (2회)
2007, 2015–––––MC 엘 율마조별리그
2015––––––USM 엘 하라슈2라운드
1999–1라운드
19888강
1993–––MO 콘스탄틴2라운드
1992–2라운드
19772라운드
2001–––US 샤우이아2라운드
1995––8강
1994–––JSM 베자이아2라운드
20132라운드
2009–––––DNC 알제––8강
1983––––ASM 오란–––8강
1992–––USM 아인 베이다–––8강
1997–––JS 보르지 메나이에–––2라운드
1995–––USM 벨 아베스––2라운드
1992––––ES 콜로––2라운드
1987––––CR 베니 투르––2라운드
2001––––WA 렘센––1라운드 (2회)
1999, 2003––––RC 렐리잔––1라운드
1990––––



특히 ES 세티프CAF 챔피언스리그에서 두 차례 우승(1988, 2014)을 차지하고, FIFA 클럽 월드컵에도 참가(2014)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JS 카빌리에 역시 CAF 챔피언스리그 2회 우승(1981, 1990), CAF 컵 3회 우승(2000, 2001, 2002)을 기록하며 알제리를 대표하는 클럽으로 자리매김했다. USM 알제는 2023년 CAF 컨페더레이션컵CAF 슈퍼컵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이러한 알제리 클럽들의 국제 대회 성과는 알제리 리그의 경쟁력을 입증하는 동시에, 리그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IGNATURE D'UNE CONVENTION ENTRE LA LFP ET L'EPTV http://www.lfp.dz/ar[...] 2020-10-01
[2] 웹사이트 Les Ligues 1 et 2 rebaptisées Mobilis http://www.lexpressi[...] Lounès Meberbeche 2014-05-08
[3] 웹사이트 LP1 : Coup d'envoi du 1e champ. pro le 24 septembre http://www.dzfoot.co[...]
[4] 웹사이트 CRB : Madar Holding prend les rênes du Chabab http://www.elmoudjah[...] 2018-11-22
[5] 뉴스 Ligue 1 : l'ex-SNTA, nouvel actionnaire majoritaire du CRB – TSA https://www.tsa-alge[...] 2018-10-31
[6] 웹사이트 L’ENTP rachète le CS Constantine https://www.algerie3[...] 2016-04-04
[7] 웹사이트 Rachat de la société CSC par Tassili Airlines https://www.djazaire[...] 2012-10-08
[8] 웹사이트 CSC & TASSILI AIRLINES : C'EST FAIT ! https://www.csconsta[...] 2012-12-05
[9] 웹사이트 ES Sétif : Fin de mission pour Serrar https://www.dzfoot.c[...] 2023-07-28
[10] 웹사이트 Officiel : Mobilis rachète 80% de la JS Kabylie https://www.dzfoot.c[...] 2022-11-29
[11] 웹사이트 Sonatrach et ses filières reprendront le MCA, le MCO, le CSC et la JSS https://www.algerie1[...] Abbès Zineb 2012-08-18
[12] 웹사이트 سوناطراك تشتري رسميا اسهم فريق مولودية الجزائر https://www.ennaharo[...] 2012-10-03
[13] 웹사이트 Sonatrach rachète la SSPA/MCA à 100% https://www.competit[...] 2012-10-04
[14] 웹사이트 MC Oran : Le nouvel actionnaire est là ! https://www.dzfoot.c[...] 2023-08-17
[15] 웹사이트 Ligue 1: le MC Oran officiellement racheté https://www.lescore.[...] 2023-08-17
[16] 웹사이트 Ligue 1 Mobilis de football : Algérie Télécom sponsor officiel de l'USM Khenchela https://news.radioal[...] 2024-08-01
[17] 웹사이트 USMA : Serport acquiert 94,34% des actions http://www.dzfoot.co[...]
[18] 웹사이트 USMA : Le Groupe Serport prend officiellement le pouvoir http://www.competiti[...]
[19] 뉴스 إتحاد العاصمة يدخل الاحتراف من الباب الواسع ب 70 مليار http://www.djazaires[...] 2010-08-05
[20] 웹사이트 USMA : Les Haddad officiellement vendeurs http://www.dzfoot.co[...]
[21] 문서 Dissolved in 1989
[22] 문서 Dissolved in 19??
[23] 문서 deducted 4-point
[24] 문서 deducted 1 point
[25] 문서 deducted 4 points
[26] 문서 deducted 3
[27] 문서 deducted 6 points
[28] 문서 deducted 2 points
[29] 웹사이트 Tournament of Fraternity 1982 https://www.rsssf.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